가치관을 통해 본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 유교와 무교를 중심으로  


●저자 : 김종만, 김은기

●학술지명 : Theology and Society 

●권호 : 34(3) 

●게재년월 : 2020년 8월 30일  


[초록]

문화적 정체성은 자신의 고유한 문화에 기반한 개인의 정체성이나 특정한 공동체의 소속의식이다. 그것은 국가 및 민족, 종교 단체, 성(性), 심지어 세대일 수도 있다. 개인에게 문화적 정체성은 특정 공동체를 사회적으로 결집하는 원천이다. 공동체의 일원이 공유한 문화, 즉 언어, 종교, 전통, 관습 등은 정체성 및 일치감, 결집과 집합의식을 제공한다.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은 무엇인가? 문화를 구성하는 수많은 요소 가운데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이에 대한 해답은 한국인의 철학, 종교, 문학, 예술, 음악, 심지어 음식 등을 통해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은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의 핵심을 한국인의 가치관으로 보고 논의를 진행한다. 특히 본고는 무교와 유교에서 기인하는 한국인의 가치관을 고찰한다. 왜냐하면 두 종교의 주요한 가치들인 현세성, 점과 운세, 효, 조상숭배, 집합주의, 교육, 수직적 위계 강조 등은 여전히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문화의 가장 중요한 보고(寶庫)인 무교와 유교의 전통적 가치들은 한국인의 특징, 세계관, 사고방식 그리고 집합의식을 정의하는 전통적인 사고와 행동 패턴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 논문은 한국인의 가치관에 관한 여러 데이터뿐만 아니라 관련 문헌들을 통해서 한국인의 가치관을 탐구한다. 


South Korea has been prone to many devastating tragedies, but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in April 2014 stands out as one of the most painful and traumatic ones in the collective memory of Koreans. In response to the tragedy, religiously-motivated NGOs became actively involved in the post-disaster relief, providing not only relief aid but also counselling to the families of the victims. The tragedy has also drawn a renewed attention to the role of religion in society, at times of disasters or peace. This paper argues that the time is ripe for reappraising the role of religion in the contemporary world, especially in light of liberation theology. There are two reasons for this: 1) Pope Francis, the leader of the 1.2 billion-member Catholic community, is at least remotely sympathetic to liberation theology, which marks a significant departure from his predecessors; and 2) the contemporary world is still besieged by widespread poverty, injustice, political oppress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 the very reasons against which the theology first arose. In view of these observations, the paper examines the potential link between Pope Francis and liberation theology, followed by a discussion of the main features of liberation theology which demand rethinking about the role of religion in the contemporary setting. The paper argues that  religion can actually become more practical and relevant to people in the contemporary world by engaging more actively with social issues. Lastly, the paper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liberation theology, particularly the concept of “ecclesiastical social responsibility.”